GIS 분석 인프라 구성 - Ubuntu16.04, Postgresql9.5, PostGIS2.2

1 minute read

설치

sudo apt install -y postgresql postgis postgresql-9.5-dbg postgresql-common postgresql-9.5-postgis-2.2 postgresql-9.5-postgis-scripts

설치는 별거 손댈게 없다.

서버에서 스크립트를 돌릴 일이 있을 수 있으니

sudo apt install python3 python3-dbg python3-dev python3-dbf python3-pip pip3 install psycopg2

설정

Postgresql

원격접속 가능하게 설정 - 필요한 경우

postgresql.conf

listen_addresses = ‘localhost’

pg_hba.conf

postgres all all 0.0.0.0/24 md5

개발테스트용이 아닌 서비스용이라면 초기 설정할 때만 오픈해놨다가 접근권한을 127.0.0.1이나 허용된 서버만으로 제한하도록 한다.

계정 설정

root 생성

sudo -u postgres psql -U postgres alter user postgres with encrypted password ‘dkfldk3$’; \q

Postgis

디비 생성후

create database gis_db; \connect gis_db; create extension postgis;

postgis 설치가 완료되면

gis_db.public.spatial_ref_sys 테이블이 생성된다.

확인

select * from pg_catalog.pg_tables;

초기 데이터 준비

spatial_ref_sys에 표준 좌표계는 다 입력되어 있는편인데

공공기관에서 제공해주는 변태좌표계에 필요한 설정을 넣어준다.

id값이 충돌하지 않도록 주의.

 

GIS 너무 쉬운거 아니야?

아직 지옥문을 막 열었을 뿐.. 문이 닫히기 전에 돌아가라

 

RAW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공공기관의 데이터

정권이 바뀔때마다 지들 기분날 때 마다 데이터의 제공주체나 생산주체 담당자가 수시로 바뀌니 그때그때 확인을 해 봐야한다.

데이터 포맷 정보가 없는 경우도 많고 통일성도 없다.

따져도 소용없다. 그 사람들도 문제의식은 가지고 있는데.. 이게 장관급에서 프로젝트가 내려오지 않으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여러 기관이 얽히고 얽혀서

데이터 제공 기관

행정표준코드 관리시스템 : https://www.code.go.kr/jsp/index.jsp

환경공간정보서비스 : https://egis.me.go.kr 생태자연도

국립생태원 : http://www.nie.re.kr/

국토환경정보센터 : http://www.neins.go.kr

국토지리원 : http://www.ngii.go.kr 수치지도, DEM(래스터)

국가공간정보포털 : http://www.nsdi.go.kr 연속지적도, 개별공시지가, 토지등급, 건물정보 …

주소, 행정동, 지적도, 건물정보, 등 넣어줘야하는데

국가교통정보센터 : http://www.its.go.kr/

교통정보공개서비스 : http://openapi.its.go.kr

기상청 : http://www.kma.go.kr

NASA 수치 데이터 : 한국 데이터는 없다고도 하고 잘 못 찾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