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구축하기 vs 돈내고 쓰기

이성적으로는 돈 내고 쓰면서 빠르게 개발하는게 낫다는걸 알지만
하나하나 구축하려는 욕심이 든다
적정기준을 정해놓고 따르는게 좋을 것 같은데

서비스 구축을 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서비스가 몇가지 있는데

  • 인프라
    • 그냥 서버.. linux, unix, windwos ..
    • k8s cluster
    • object storage
    • cdn
  • DevOps
    • 빌드
    • 배포
  • Logging & 모니터링
    • 로그수집
    • 모니터링
    • 알림

구축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이익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
비용: 시간, 돈, 인력
이익: 만족감, 기술발전, 속도, 돈

비교

인프라

IDC에 서버 올려서 직접 구축하면 제일 싸긴하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초기비용이 크고 서버 관리하는 기술도 생각보다 어렵고
경험이 없으면 삽질을 엄청 많이 하게 된다
코드만 만지던 사람들이 생각도 못한 변수가…

그리고 서버를 코드화 할 수 없으면 곤란한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메이저 클라우드 업체를 쓰면 서버를 완전 코드화할 수 있다.

  • AWS
  • GCP
  • Azure
  • Heroku

서버만 쓸 수도 있지만 클러스터까지 쓸 수도 있고

  • k8s
  • ecs

네이버 클라우드 등 국내 서비스는 안됨. XXX

CDN, ObjectStorage는 클라우드플레어 등 다른 회사를 써도 되고 메이저 클라우드를 써도 되는데 다 코드화가 가능하다.
코드화가 가능하면 인프라 구축이 매우 쉬워진다.
SI도 아닌데 한번 구축하면 끝이지 왜 환경을 재현해야 하냐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 CloudFlare

인프라 코드화의 장점

  • 테스트 환경 구축: production 환경에
  • 서비스 확장이 간편: 인프라 규모를 확장할 때 오류 가능성이 낮다.
  • 테스트 자동화가

DevOps

위에 있는거에서 DevOps는 코드화 해서 쉽게 할 수 있고
githubaction같은 무료서비스도 많으니 그냥 써도 된다. 서버를 직접구축하면 조금 더 빠르긴한데 취향에 따라 마음대로 해도 되는 부분…
아직 돈내고 써서 엄청 좋아지는 서비스가 없다

  • kustomize
  • gitops
  • githubaction
  • gitlabaction?
  • drone
  • argocd
  • keel

로깅 & 모니터링

hadoop, elastic search, prometheus 거의 이 중 한쪽 생태계와 주변기술 아닐까

구축하는게 튜토리얼대로 하면 금방 할 수 있기도 한데…
서비스에 맞게 튜닝을 하려면 신경쓸게 많다.
생각보다 잘 안되는 편

어떻게 보면 진짜 비핵심적인 부분이기도 해서
진짜 필요한 부분에서는 직접 로그를 DB에 저장하던지 하고
전체적으로는 돈내고 써야하는 분야

sentry, datadog, … 등등 검색하면 많다

클라우드에서 기본 제공해주는 서비스는 대부분 ES, Hadoop 기반이고
커스터마이징이 불편해서 별도로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

서버 – Cloud vs IDC

그냥 다 귀찮으니 편하게 쓰고 싶다면 Cloud를 쓰는게 맞다. 서버 조그만거 껐다 켰다 하는 경우에는 Cloud가 가격도 싸고..
그런데 뭔가 조금만 무겁게 돌리려고 하면 Cloud의 GCP기준 2cpu 월3만원 4gb 서버는 좀 버거워 하는게 느껴진다.
Kubernetes가 자동으로 설치되고, Storage(s3, goosto..) 처럼 설치해서 관리하기 매우 난감한 솔루션도 종량제로이용 가능. minio, hdfs등을 설치해서 관리하려면 머리가 아프고 소규모로 쓰는데 이걸 설치하려면 골이 아프다.

서버2개정도로 빡빡하게 돌리려면 IDC
통큰아이 서버 중에 5만원~10만원 정도 하는거 두개쯤 쓰면 된다. 단기계약도 가능.

스케일업다운해가면서 테스트 할거면 Cloud

고정적으로 돌릴거면 IDC 코로케이션
http://www.koreaidc.com/03_colo/colo_type.html
액면가(협의가능) 쿼터렉(20Mbps) 25만, 하프렉(50Mbps) 60만, 풀렉(100Mbps) 110만
LG IDC
http://www.uplus.co.kr/biz/bzid/clct/RetrieveBzIdCoIt.hpi
부가포함 – 쿼터 44만, 하프 75.5만 풀 121만
네트워크나 기타 서비스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평촌IDC를 쓰면 AWS 다이렉트 연결도 가능.

하이브리드 사용을 하려면 AWS Direct 네트워크 연결이 되는 IDC를 선택하면 된다.

클라우드

  • AWS
  • GCP
  • Azure
  • naver cloud
  • nhn toast cloud
  • kt cloud XXXXX
  • cloudv
  • digital ocean
  • heroku

호스팅

  • 통큰아이

코로케이션

  • cloudv 쿼터렉50만원인데 50%할인이라고써있음 할인해야 정상가격
  • 통신사(kt,lg,sk) Idc 직계약
  • 그냥 호스팅회사들 통해서 하는거 하나도안싼게특징
  • korea idc 쿼터렉 25만
    https://www.koreaidc.com/colocation/c-colocation.php
  • https://kdtidc.kr/wp/%ec%bd%94%eb%a1%9c%ec%bc%80%ec%9d%b4%ec%85%98
  • http://www.maruidc.com/colocation/rack_cost.html
  • http://www.coredata.co.kr/idc/colocation/package_cost.html
  • https://www.hostmeca.com/colocation.php
  • http://idc.viaweb.co.kr/coapp.php

결론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냥 로컬서버(집에다가) 두개정도 돌려놓고 개발 하다가 클라우드에 한두개정도 올리고… 클라우드 비용이 100만원을 넘는 시점에 하이브리드 환경을 고려 해 보는게 좋지 않을까

요즘시대에 완전 온프레미스 환경을 구축하는건 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s3와 같은 환경을 직접 구축하는건 … 필요해지는 순간이 오긴할까

가격 별도문의는 걸리기만 해라 눈탱이로 조져버린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시세를 모르면 클라우드 쓰는게 더 싸고 편하다 이런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