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 세계에서 가장 머대리 클라우드

없었으면 더 좋았을 eksctl

eks는 사회악이다.
잘못 만들어진 툴은 없느니만 못하다
이딴게 있으면 다른게 만들어질 여지조차 막아버리니까

eksctl이 없으면 다른방향으로 de facto가 생겼을텐데

aws의 대부분이 널리 사용되고 기능많은 애매한 실패작이다
소니-애플로 이어지는 심플하고 쓰기좋은 제품군이 나오기 전의
복잡한 툴을 보는 느낌이다

오동작은 하지 않는다

클라우드의 아이폰은 뭘까

aws cli로 하면 될 것 같은데 애매하게 cloud formation을 만들어내는 eksctl 때문에 cli기능이나 다른 프로비저닝 툴이 활성화가 덜 됐다.

AWS의 대머리 메시지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the specified resource

eni를 지우려는데 이상한 소리를 하면서 안 지워진다

검색하다 보니 누구는 EB가 누구는 lambda가 남아있어서 그렇다고 한다.
lambda에서 생성한건 다른데서 삭제가 안된다고?

씨이발 그럼 어디어디 지워야할지 알려주던가
루트계정으로 들어갔는데 권한이 없다니

iam복잡하게 만들려다가 다 망쳐먹은듯

내 경우에는 rds가 생성 돼 있어서 삭제가 안됐었다

람다는 쉽다며 씨발

개삽질 기간포함 일주일 좀 넘게 걸린 것 같다.

1단계 Go로 HelloWorld

처음엔 go언어 이용해서 간단하게

2단계 외부연동 GW

GW설정을 해야되는군… 뭐가 씨발 되다말다 하고
DTO구성을 바꿔줬다

3단계 RDS 연결

같은 VPC를 써야하는군..
iam인증을 쓰면 커넥션 생성속도가 느리다고?
타임아웃은 왜 계속 나오는거지
vpc에서 시큐디티 그룹을 연결시켜줘야 하는군
아이피는 왜 자꾸 변하는데… vpc전역(172.1.0.0/16)을 오픈 해 놔야하는건가
커넥션 풀은 어떻게 하지? 일단 패스

4단계 SNS 호출

제대로 한 것 가튼데
로컬에서 호출이 되는데
아 왜 안되지
머리가 마비된다
event trigget – sns to lambda는 많은데 lambda to sns자료는 잘 없다.
엔드포인트 생성(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userguide/vpce-interface.html)
(https://docs.aws.amazon.com/ko_kr/sns/latest/dg/sns-vpc-endpoint.html)

셋팅하고나서 좀 있으면… 된다.

Amazon Summit, Seoul 2018 참관 후기

이번 컨퍼런스의 키워드 : datalake, serverless, devops, msa

s3, redshift를 이용한 datalate 구축
lambda를 이용한 serverless architecture
이것저것 이용한 devops전략

machine learning, block chain도 있었지만…
AWS컨퍼런스다 보니 아키텍처럴한 내용이 주를 이뤄서 다른분야의 발표는 별로 안 보였다.
특정 saas의존적인 방식이라 좀 꺼렸는데… 어차피 AWS이외의 선택지가 없다고 보고 그냥 들어가야되는건가?
AWS생태계에 종속된 편안한 개가 될지… 야생의 힘들고 야근많이 하고 배고픈 늑대가 될지

serverless 클러스터 관련 오픈소스도 있는 것 같기는한데…
https://openwhisk.apache.org/
https://github.com/serverless/serverless
https://github.com/Miserlou/Zap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