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 도커 설치

도커 공식사이트 http://Docker.io

 

도커 공식홈페이지에서 지원하는 버전이 2가지가 있다.

DockerToolbox  // Docker for Windows
두 버전의 차이는 가상화 솔루션을 뭘 사용하냐의 차이다.
VirtualBox // Hyber-v

 

도커를 실행시키면 가상화솔루션에 리눅스os를 한개 띄워놓고 그걸 이용해서 서비스들을 실행시키는것으로 보인다.

윈도우에서 내장된 HyperV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VT-d를 점유 해 버려서 VirtualBox에서는 64Bit OS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

두 가지를 동시에 쓸 수는 없고 한가지를 선택해서 사용해야한다.

 

성능상으로는 Docker for Windows가 더 뛰어나다는 말이 있다.
(http://bryan7.tistory.com/774)
그런데 Docker for Windows는 윈도우 10 Pro 빌드넘버 10586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니까 그 하위버전이라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한다.

윈도우 7,8 사용자는 Docker-Toolbox를 설치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버추어박스를 계속 사용해야한다면 DockerToolbox를 설치하자.

성능차이가 좀 있다고 하지만 어차피 테스트용인데 좀 느려봐짜 먼상관

 

Docker for Windows를 설치하는 경우

  1. Docker for Windows는 도커 공식사이트 메인에 있다. 그냥 설치하면 설치 완료 후에 hyper-v도 알아서 켜준다.

2. Kitematic  다운로드 설치

Docker Toolbox를 설치하는 경우

  1. 다음을 따라해서 윈도우hyperV가 켜져있을 수도 있으니 먼저 끄고 설치하도록!
윈도우버튼(누르면 검색창으로 이동함)  - 제어판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hyperV 체크해제 - 윈도우 재시작

 

2. 도커 툴박스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라!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toolbox
현재는 다음 항목이 설치된다.

o Docker Client for Windows
o Docker Machine for Windows
o Docker Compose for Windows
o VirtualBox
o Kitematic for Windows(Alpha)
x Git for Windwos(git-scm.com에서 따로 설치)

 

 

 

도커 kine기초 사용은 튜토리얼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나는 이렇게 설치하긴 했는데 제대로 한건지는 모르겠다 아직 도커초보라서…

Windows7,8,10 – VirtualBox 64bit OS가 잡히지 않는경우

먼저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
CMOS에 보면 VT-D  또는 Virtualization 어쩌고 하는 항목이 있는데 True, Enable, OK 등등 설정해주면 된다. 최근 5년안에 나온 cpu나 메인보드에는 다 지원하는 것 같은데 없을수도 있다.

위 설정을 해놓으면 버추어박스에서 64비트 OS가 표시되는데… 이걸 다 해도 64비트가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윈도우에서 Hyper-V라는 버추어박스나 VMWARE와 같은류의 가상화 서비스인데 이게 먼저 실행되서 메인보드의 VT-D의 파이프?라인???을 선점해서 그렇다.  이것만 꺼주면 VirtualBox가 제대로 동작한다.

 

제어판(control??) –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기능 켜기/끄기(features?)
에 들어가서 Hyper-V항목을 전체 다 끄고 재부팅하면 VirtualBox에 64비트가 표시된다.

 

요즘은 Docker가 윈도우의 Vt-D를 사용해서 … 이것저것 쓰려면 Hyper-V를 쓰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