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는 방법 – 최수진

DA(데이터 아키텍처) 컨설턴트에 관한 얇은 책

2021년 이후에는 조금 맞지 않을
그리고 DA편향적인 생각이 많이 적혀있다.
개발자 다음단계를 준비한다던가…

DBA,DevOps,DA,Frontend,Backend…는 직군이 되서는 안되고 직책이 되야한다.
SoftwareEngineer는 보통 이 교집합을 수행한다.
DA만 하는 IT컨설턴트가 존재 하지 않는게 최선이다.

컨설턴트의 강점은 실력이 아니다.
권한이다.
검찰이 경찰보다 뛰어난건 지능이나 개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지역의 이해관계에 얽히지 않은 벽을 뛰어넘는 권한이다.
컨설턴트도 마찬가지
대기업의 특정 부서나 직급에 상관없이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잘못된 것을 지적할 수 있는 권한이다
제 3자이고 곧 떠날 사람이기 때문에 가능한 부분이다.

LG에서 휴대폰 사업이 잘못나가고 있는것을 누가 지적할 수 있었을까
구성원 하나하나다 다 개붕신이라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을리는 없다
좆지 직원들도 갤럭시,아이폰을 좋아하니까

  • DA
  • DBA
  • BA
  • AA
  • TA
  • ISP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고객의 업무에 맞는 데이터 모델
vs
개발하기 쉬운 데이터 모델

보통은 개발하기 어려운 데이터 모델은 잘못된 설계의 결과물이다
기존에 잘못된 업무를 그대로 따라서 모델링을 하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
1 보통은 업무 자체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2 상태값 설계가 제대로 안 된 경우

프로젝트 시작전에 처리되서 문서화되어야 할 것들

  • 일정
  • 설계
  • 용어정의

보통 이런것들은 무시되고 바로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오버헤드를 발생시키는 문제들

개발자: SI-SM
DA: 모델링-튜닝

Ktor web framework – kotlin

kotlin web framework인데…
간단하게 rest api 만들기 좋다.
간단한 rest api가 필요한가??
프로토타이핑 정도 하는거라면 모를까
그냥 스프링 쓰는게 나을 것 같다

뭔가 많이 부족하다

추가기능 – 만들거. 있음좋을거

  1. API route에서
    route 이름, 주소URI 가져오기
  2. 공통파라미터 상위에서 선언한거 하위에서 같이 쓰기
    route (/game)
      val user_id = Header
      get {
      user_id
    }
    post {
    user_id
    }

언어 구조 때문에 만들기 힘들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