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chestration Infra

설치형

  • Kubernetes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
  • Docker swarm https://github.com/docker/swarm
  • rancher https://github.com/rancher/rancher
  • flynn https://github.com/flynn
  • mesos https://github.com/mesos/mesos
  • nomad https://github.com/hashicorp/nomad

SaaS

  • AWS ECS
  • GCP
  • AWS
  • Azure
  • Heroku

서비스형으로 쓰면 되는데 또 설치 해 보고싶고 그러면 Docker Swarm정도는 해볼만할 것 같다

Helm 2에서 3로 간략

Tiller 없어짐

  • Tiller가 k8s 클러스터에서 에이전트 서버 역할을 했는데 이게 없어지고 단순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는 구조로 변경
  • 보안을 사용자가 알아서 하라는거 보니 이거 관련 보안문제가 터졌나봄
  • tiller 초기화하려고 필요했던 helm init, helm home 없어짐

차트 리포지터리 검색

로컬과 helm hub 모두 동작? 항상 웹으로 찾아가지고 몰랐던 부분

의존성관리

Chart.yaml에서 의존성 관리. requirements.yaml을 포함. 용어도 변경 requirements -> dependencies
helm2 하위호환 보장
차트의 type 추가 – application / library

주요 명령어 기능변화

uninstall 하면 기본값이 purge라던가… helm2까지 많이 사용하던 사람 아니면 관심가질 필요 없는 내용.. 어차피 쓰다보면 알게되는

Git 서비스 – 클라우드, 설치형

클라우드

  • github.com
  • bitbucket.org
  • gitlab.com
  • googlecode

설치형(무료만)

  • gitlab https://about.gitlab.com/install
  • gitea https://gitea.io/en-us
  • gogs https://gogs.io
  • RhodeCode https://rhodecode.com/download/community
  • GitBucket https://github.com/gitbucket/gitbucket
  • yona https://yona.io
  • git-o-lite

비교표
https://docs.gitea.io/en-us/comparison

선택

클라우드는 3대 서비스가 다 프라이빗 리포 생성이 된다
깃헙은 조직생성 해서 관리하려고 하면 프라이빗 리포는 불가
빗버킷은 좀 느리다

설치형은 깃랩이 좋았는데…

요새는 gitea가 더 대세인 것 같다
업데이트 속도도 빠르다

그냥 ssh 서버 열어놓고 써도 되는데

써보면 매니징 프로그램 깔고 쓰는게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