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in Action : 코틀린 컴파일러 개발자가 직접 알려주는 코틀린 언어 핵심

이 책은 좀 마음에 든다. 그래도 돈이 없어서 사진 않겠다.

개념설명과 예시가 잘 나와있고 번역도 걸리는거 없이 자연스럽게 읽힌다.
책의 수준은 자바를 어느정도 알아야 제대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람다까지는 어느정도 할 줄 알아야…

본인쨩은 자바도 할 줄 알고 코틀린도 튜토리얼보면서 대강 익힌 후에 책을 봐서 좀 더 편하게 본것같기도 하다.

자바 특징

자바를 소개하는 책에는 자바가 간결하고 쉽다고 했지만… 그건 C,C++하던 사람들 얘기고
본인쨩은 C#을 먼저 하고 자바를 시작해서 그런지
처음에 자바 문법 극혐스러웠다. 

코틀린 써본 느낌

코틀린은 완성된 자바같다.
자바의 혐오스러운 부분을 배제해서 간결하고 직관적이다.

자바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부분을 희생한 것 같다.
자바코드 가져올 때 null타입 체크를 포기한거나 …
그런거나…또 뭐가 있더라
패키지 구조에서 인터널 스코프, sealed도 뭔가 문제가 있었던 것같은데, immutableCollection이 바이트코드에선 퍼블릭이라거나

몇 가지 문제 때문에 코틀린에서 만든 라이브러리를 자바에서 쓰면 좀 불편할 것 같다.

자바도 8에서 람다, 9에서 모듈을 적용하면서 열심히 따라오고는 있는데
자바19정도 되면 코틀린처럼 변하지 않을까

no-java kotlin 버전???

레거시 지원도 좋지만 가끔은 과감하게 포기하면서 발전 해 가면 좋겠다.

(시작하세요)하둡프로그래밍, 위키북스

별로… 진짜 기초내용.

 

개념적인 설명이 많은것도 아니고 튜토리얼이 좋은것도 아니고

이런거 보는사람은 프로그래밍 어느정도 익숙할텐데

도큐먼트랑 깃헙 다운받아서 보는게 나을것같다

시간은 소중하니까

이 책은 패스하자

창업공간 이용/방문 후기

위워크 강남점

위치 : 강남역 6번출구 홍우빌딩. 삼성전자 주변. 현대블랙스튜디오 앞건물
특징 : 미국식 소비문화를 지향해서 1회용품사용을 엄청나게 많이 한다
서비스 : 매주월요일 아침 먹을걸 준다. 청소서비스. 택배. 명절이나 무슨날이면 뭐 챙겨주고 행사도 있고 그렇다.
커뮤니티 : 옆 회사 사람들하고 인사도 안함

이전 직장 다니면서 1년정도 썼는데 창렬한 가성비지만 환경이 나쁘지는 않다.

중소형공유사무실0

위치 : 2호선 어딘가
특징 : 친하게 지내려면 무한히 친할 수 있다
서비스 : 청소.
커뮤니티 : 하기나름

개인적으로 사업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사무실 따로 얻기는 부담스러워서 들어가게 됐는데… 사무환경이 나쁘는 않은데 물관리가 전혀 안된다.
영업사원 아저씨 맨날 전화질하고 (다른 어떤 사무실은 아줌마일 수도 있겠지) 시끄럽게 군다. 휴대폰은 항상 벨소리 최고음량

오피스19

위치 : 관악구 낙성대역과 서울대역 사이
특징 : 관리자가 없는거나 마찬가지
서비스 : 식빵과 잼 제공. 토스터. 드립커피. 카페에서모닝커피제공. 
사무실 청소 서비스 없음
커뮤니티 : 없음

1층은 카페고 2층 일부와 3층전체가 공유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는데
방음이 전혀 안된다.
운이 좋게 옆 사무실에 조용한 사람이 쓰고 있다면 모를까 재수없게 걸리면 못 쓴다. 소음에 민감한 사람은 사무실 오래 못 쓰고 나가는 것 같다.
아랫층에 식당과 지하에 강당이 있는데 여기서 행사가 있으면 그 소음이 사무실까지 들린다.
렙실은 입주자 이외에 일반인에게도 임대되는데 이 사람들은 엄청 시끄럽게 군다.
가장 큰문제는 관리인이 관리를 안한다는 것

(방문)중소형공유사무실1

서울대입구역 인근

우리 외주 맡길 것 있는데 좀 봐달랜다.
그럼 사무실 돈 안내고 써도 되나?
이런 애들이 많다. 돈도 받으면서 외주도 주겠다는? 미친건가?
값은 제대로 쳐주긴할건가

(방문) 패스트파이브

교대역 인근

시설은 깔끔하고 좋다. 위워크에 비해 소규모로 두층을 쓰고 있었다.
시리얼 제공

(방문) 가산 아파트형공장 소호사무실

딱 봐도 방음 전혀 안되게 생겨서 그냥 나왔다.

~ 결론

돈 많이 주고 위워크, 패스트파이브 쓰던가 입지 괜찮은 단독사무실 이용

안 그러면 월세보다 더 귀한 본인의 인건비가 날라간다.

(예제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루아

이 책을 다 봤지만 메인함수 작성하는 방법을 아직 모른다.

인터넷의 1시간만에 루아 마스터하기~ 문서같은 느낌이었다

그래도 루아 언어 자체가 간단하기 때문에 그정도면 충분할 것 같다.

메인함수 작성법이나 system.in 하는방법은 따로 찾아보면 되니까

nginx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보게 됐는데 생각보다 간단해서 쉽게 접근해볼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