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타트업] 구멍난 배의 선원

Run Fast – 빨리 튀라!

성공하는 이유는 제각각이지만 망하는 이유는 하나
돈이 떨어져서

구걸링 – 회사에 돈이 없어?

일반적인 회사는 일반적으로 in이 100이면 out이 90정도
조타트업은 in이 1이면 out은 100이다
in이 급격하게 성장한다고 하지만 10배 성장해도 89가 부족하다
이 부분을 구걸링으로 채우는게 이쪽 생태계다.

성공하는 3년이내 초기 조타트업 기준
평균급여가 5천정도
기타 복지비 등등 2천
1년에 1인당 7천이 지출된다

10억 투자받으면 10인기준 1년 조금 넘게 버틴다.
일정 기간 지나서 다음 구걸에 실패하면 회사는 망하거나 헐값에 팔린다.

조타트업 투자 모델 – 다음 스테이지를 향해 달려!

seed-A-B-C-D 단계를 하나씩 넘어가는 게임화된 투자 모델이라고 보면 된다.
단계별로 1~3년의 텀을 두고 회사는 이전 단계의 기록을 확인받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계획을 발표한다.

구걸에 성공한 경우 다음단계까지 2~3년간의 다음단계로 가는데 필요한 자금을 투자받는다.

조금 애매한 경우,
다음단계까지 버틸 자금이 아닌 preA이니 뭐 이런식으로 투자를 한다.
조금만 더 해서 성과를 보여봐~

임직원 모두가 이 목표를 가지고 빡쎼게 달려야 겨우 다음 단계에 올라갈 수 있는거다.

아래와 같은 경우는 미션 실패… 아마 다른 경쟁 기업이 투자를 받았을거다.

  • 이전 투자에서 기대한 만큼의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 다른 더 좋은데 다 투자했다
  • 자금이 부족하다

워라벨 nonohe – 사장놈아 직원들 다 죽는다

뛰어난 사람같은건 거어의 없다.
IQ110이나 IQ130이나 생산성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어차피 대부분 노가다고 현장을 봐야하는 일이지 머리를 많이 써야 하는 일은 잘 없다.
(IQ160이 하는 비지니스는 AI, 퀀트? 에서 차별화가 있을까? 보통 조타트업 분야인 커머스, 클라우드, O2O, 웹서비스에서는 별 차이 없다(고본다))

머리 좋으면 한번에 좋은 방향설정을 하겠지만… 조금 빠르게 실패해서 방향전환을 하면 되는 문제..
지능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게 방법론이다. 이런 부분은 방법론이 나와있어서 시키는대로만 하면 상당부분 극복이 가능하다.

결론은
사람은 다 거기서 거기인데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갈아넣느냐가 성패를 가른다.

그래서
조타트업 대표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가스라이팅이다.
직원들에게 핑크및 미래를 제시하면서 끊임없이 갈아넣어야한다.
토스 대표가 이걸 잘 하는 것 같다.
7전8기동안 멤버들이 계속 붙어있었던걸 보면 ㅎ
지금 토스애들 일하는거 소문만 들어보면 개빡쎄게 하면서 불만도 없고

하지만 직원들이 바보는 아니라서 가스라이팅을 하려면 줄건 줘야한다.
스톡옵션이나 지분같은 성공했을 때 나눠먹을 수 있는것들..
이번에 투자10억 받으면 개발장비 새걸로 다 바꿔드림
매출 1조 달성하면 보너스라던가
(와 우리 다 잘될거야 화이팅<-병신 이런데는 바로 탈출)

그래서 공동운명체인거고 초기 스타트업(Series A이전, 30인 이하)에서는 우리 직원들 보다는 우리 팀원이나 파트너 개념으로 표현을 한다.
회사가 성공했을 때 성과도 나눠먹게 되는거고

탈출각1 – 우리회사 망할 것 같음~

  • 대표 표정이 어두워진다
  • 괜시리 잘 될 것만같은 소리를 한다
  • 제품이 뭔가 완성이 안되고 이것저것 만지작댄다
  • 회사가 뭔가 마음에 안들고 한두명씩 도망간다
  • 복지가 줄어든다

탈출각2 – 회사 성공해도 먹을게 없음~

  • 지분이나 스톡옵션이 없어?
  • 연봉협상을 안하네?
  • 복지가 원래 없다
  • 대표가 짜침

망했을 때!!

돈이 떨어졌을 때 대표의 능력과 태도에 따른 대처 모습을 보고 탈출할지 말지 판단 해 보자

대표 하는거 봐서~

비밀주의 권위주의와 거짓말 – 탈출

월급날 오후쯤 돼서야 은행의 문제로 일부 인원에 대해 월급이 지급되었다고 한다.
나머지도 곧 들어온다!!
(이게 진짜인 경우도 가끔 있는데 그건 분위기 보면서 진위여부 파악 필요)

나머지가 다 지급 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고 이렇게 한달이 지난다

여기서 다 불러다가 현재 사정을 설명하고 해고시키거나 버켜달라고 부탁하면??
결단력 있는 좋은 대표다.
다음 사업에 참여해도 된다.

월급이 밀릴 때 대응

밀린월급과 퇴직금을 약간 보전 해 주는 체당금이라는 제도가 있다.
퇴직금과 지난 3개월치 급여를 일부 보전 해 주는 제도다.
금액은 조금씩 변할 수 있으니 찾아봐야한다. 총 1000만원까지만 보전이면 월급 800, 퇴직금 200 이런식이다.

3개월까지가라는것의 뜻
월급이 밀리는 순간 1개월치다. 내가 일한 저번달의 급여를 받는거니까

4개월이 지나면 첫달 밀린걸 보장받지 못한다.

ex) 월급 300만원 직장인이
1월 0, 2월 300, 3월 300, 4월 300을 받으면….
1월차 급여는 체당금으로는 못 받는다
1월 300, 2월 300, 3월 300, 4월 0으로…
앞쪽 급여부터 먼저 받아야한다.
통장에 찍을 때 이번달 급여가 아니라 1월급여 300이라고 표시해서 보내라고 해야한다.
2번째달에 이게 안 지켜질 경우 즉각 퇴사 후 체당금 신청!!

월급이 500이 넘는경우는 곤란하다.
첫달월급+퇴직금만으로 1000만원을 돌파 해 버리니…
바로퇴사 후 체당금을 신청해야한다.
회사에 남아달라고 한다?? 그럼 재입사를 하면 했지 퇴사는 바로 해야한다.
별 쓸모는 없을 수 있지만 지금회사의 지분이나 다음창업시 지분을 더 많이 받는 조건을 받던가

회사가 어려워서 급여를 반납하는 경우에도
퇴직금은 깍이지 않는다는 판례가 있다

침몰하는 배에 남는 경우

끈끈한 팀인 경우 또는 리더가 믿을만한 경우 남아서 다음 사업을 다시 할 수도 있는데

이럴 때는 초기에 챙길건 다 챙겨야한다.

연차사유: 개인사유

요즘엔 거의 사문화된 규정

애초에 연차에 사유가 필요한가

사유를 쓰는건 병가, 공가 등 보너스 휴가를 쓸 때 뿐이다.

너무 바쁜 기간이면 반려를 권유 할 수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노동자의 권리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부 할 권리는 없다.

골때리는게 민주당 아니면 투표도 안 하는 사람들이
사장이나 관리자가 되면 이런걸 무시 해 버린다
민주당의 내로남불은 이렇게 시작되는걸까

연차휴가 내 맘대로 쓰면 좀 안 되나요?

Q1. 연차 쓸 때 사장님 눈치가 보여 힘들어요.
A1. 연차 사용은 법으로 보호받는 근로자의 권리!
5인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라면 요건 충족 시 연차 휴가를 보장받으며, 사업주는 근로자의 연차 사용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 정당한 사유 없는 거부는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 가능
단,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 연차 사용시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가 청구한 연차 사용일로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 사업주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란 기업의 규모, 업무의 성질, 작업의 시급성, 업무 대행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Q2. 사장님이 연차를 지금 쓰라고 강요하면 어떡하죠?
A2. 사업주가 연차 사용을 강제한다면 근로자가 이를 준수할 의무는 없습니다.
연차는 근로자가 원하는 시기에 청구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연차 사용을 강제한다면 위법 소지가 있습니다.
단, 사업주는 연차 사용 촉진 제도를 통하여 연차를 소진할 수 있습니다.
[연차 사용 촉진 제도]
ㆍ 1단계 : 미사용 연차 사용 촉구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미사용한 연차에 대해 사용 시기 정해서 신청하도록 사업주가 서면으로 촉구
ㆍ 2단계 : 미사용 연차 사용 시기 지정
그럼에도 연차 사용 시기를 정하여 통보하지 않는 경우, 특정 기간 전까지 사업주가 휴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
눈치 보지 않고 연차 쓰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눈치 주지 않는 회사 문화입니다!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은?
전화상담 : (국번 없이) 1350
온라인 상담 : 고용노동부 누리집 > 민원 > 민원신청 > 빠른 인터넷 상담
정책브리핑의 카드/한컷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901523

보너스 상식 – 연차 발생

1년미만 때 까지는
매달 만근시 1일씩 발생(총11일)
1년(=365일)을 채우고 난 다음날 15일이 발생
2년마다 연차는 1일씩 늘어나서 3년차는 16일 5년차는 17일… 25년차는 25일이 생기고
이건 최소기준이라서 회사에서 더 줄 수는 있지만 줄일수는 없다.

이게 좀 웃긴게.. .1년을 채우면 퇴직금이 생기고
1일 더 근무하면 26일의 연차가 생긴다
보통은 다 못 쓰겠지…ㅎ
80% 이상 근무하면 생기는거라서 휴가를 많이 쓰면 더 이익이기도 하다.

연차수당도 거의 월급이네 ㅋ 퇴사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조금 미안할 지경…

직원 채용 할 때는 이정도가 비용이라는걸 잘 고려해서 뽑아야한다.
1년 딱 채우고 그만두지 못하게 떡을 던져주는 것도 필요.

스타트업 개발자 탈출 시그널 – !투자 못 받을 때

탈출 시그널은

  • 투자 못 받을 때도 아니고
  • 급여 밀릴 때도 아니고

여기서 더 좋은 대우를 받기 글렀다고 보일 때다

남아도 되는 경우

가능성이 있고 꽤 좋은 팀이라면 사정이 안 좋을 때도 남아있어도 된다
오히려 그럴 때 남아서 같이 살려봐야겠지

그 외의 케이스는 그냥 알 수 있다.

탈출 시그널 체크리스트

대략 아래와 비슷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을건데
이 경우엔 탈출해야한다고 본다

  • 대표와 임원들 C레벨 이너써클이 존재한다?
    유리천장..
    새로운 피는 계속 안 들어올거고 너는 여기서 성장할 수 없다.
    젊은조직이라고 생각하는 조직에서도 수록 발생하기 쉬운 문제..
    임원들도 경쟁을 통해 도태되기도 해야하는데 이너써클에서 내보내는 경우는 없을거다. 너도 거기 못 들어갈거고… 그러다보면 회사의 성장도 정체되니 먹을것도 없다
    카카오처럼 정권에 끈 대면 지속 성장하기도 하지만.. 어차피 끼어들 자리는 없음
  • 본인이 생각하는 위치와 회사에서의 대접이 차이가 난다
    시니어급 이상인데 회사 정보가 전혀 공유되지 않고 업무 결정권이 없다?
    이건 애초에 나가리니까 그냥 그 상태로 다닐생각 아니면 나가야됨
    여기서 잘 생각해야 할 것은 본인이 진짜 병신인지 다른데가면 나을지
  • 스톡옵션이 없다?
    스타트업 지분이나 스톡옵션 별 것도 아니라고 하지만… 그것도 없으면… 성공해도 소용없음
    전부 다 안주면 괜찮다? 아니 이건 전부 다 나가야됨 ㅋㅋㅋ
  • 연봉협상을 안한다?
    탈출… 연봉을 못 올려줄 수는 있는데 이런경우 사정이 공유되거나 해야 정상
    이런 회사는 연봉 밀려는 것도 밀리고 나서 알 수 있다 ㅋ
    연봉은 계속 안 올려줄 가능성도 높다
  • 대표나 임원이 직원과 주기적으로 면담을 안한다(6개월에 1회이상)
    30인 이하인 경우 대표와 면담을 해야 정상이고
    그 이상인 경우 담당 임원/팀장 등 리더와 지속적으로 진행해야한다
    이거 진짜 필수
    우리회사 다 사이좋으니까 그런거 필요없어~ 라고 생각하는건 경영진이 병신인거니까 퇴사해야함. 이 회사는 성공전에 꺠짐
  • 새로 온 직원만 대접이 좋다
    이건 뭐 어떻게 대응할 수 없고 존나 억울하겠지만… 어쩔건데 ㅋ
    그러니 스톡옵션이라도 받았어야 하는 거지 ㅋ

더 다양한 지표가 있겠지만 주변에서 봤을 때 대략 이정도인데
이 경우에는 회사가 성공해도 본인은 성공하지 못할테니 얼른 탈출하는게 좋다
단, 아래 조건중 하나도 충족하는 경우에만 탈출 공식 성립

  • 다른 곳에서 더 많이 벌 수 있다
  • 더 좋은 곳으로 이직 가능
  • 창업하면 여기보다 높은 소득 가능 또는 여기보다 성장가능

위에 해당 안되면 본인은 월급루팡 중이니 그냥 다녀야함

오픈소스 비지니스: 고객을 일하게 하라

목차

  1. 일하지 말고 일하게 하라
    1. 고객은 최고의 전문가
      그들을 활용하라 오픈소스 고객은 그 분야의 전문가다
    2. 고객을 전문가로 만들리
      전문가가 아닌 고객도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제공하라
      그들은 우리의 제품을 더욱 향상시켜 줄 것이다
  2. 알아서 고치게 하라
    1. 고객들에게 스스로 고쳐 쓰고 방법을 공유하도록 만들라
  3. 고객은 최고의 노예다
  4. 일하지 않으면서 일하는 척 하라
    1. 고객은 서로 일을 해준다
    2. 다른 고객에게 우리(다른고객)의 업적을 전달하라
  5. 에필로그
    1. ㅇㅇ

목차만 봐도 지리겠다
돈버는 책이나 성공하는 책같은 제목과 소제목
두꺼운 똥소리만 잔뜩 집어넣으면 쓰레기같이 잘 팔리는 책 한권 나올 것 같다.

개발 조무사라면 꼭 봐야하는 책

NextWebFramework 3. 뷰단의 구조

View단에서 사용가능한 REST Client.

Engine에서 DB2API가 자동으로 지원되게 하는 부분은 간단히 구현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thrift를 쓸까 어쩔까 하던… 웹/모바일/…등등등에서 이 API or RPC를 직접 호출하기 위한 방법…?

자바스크립트에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한 REST Client가 존재한다면…?
이 부분을 Thrift에서 처리할 생각이었지만 더 간단한게 있다면… 적용할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 기반기술이 될만한것들…
https://github.com/garycourt/JSV
Json Validation라이브러리. 이거 조금 적용해서 도메인 구조를 json으로 정의하도록 만든다.
https://github.com/jashkenas/backbone/
js 모델 라이브러리
http://abaaso.com/
REST관련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전용 ide가 필수적인데… json기반으로 도메인을 정의한다면 웹쪽의 ide는 별도로 개발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래도 묶음배송기능, 로컬AJAX에서 외부 리소스호출을 위한(크로스도메인땜에) 인터페이스같은건 따로 개발이 필요하긴 하다.
좀 큰 부분은 해결된듯하다.
회사때리치는 일만 남았다.

NextWebFramework 2 : 다언어 모듈분산형 웹개발 프레임워크

1. 전체구조
View              Engine              Model
View      MQ      Engine      MQ      Model      DB
View              Engine              Model

2. 간소화 구조 엔진모델합치기
View              Engine+Model
View      MQ      Engine+Model      DB
View              Engine+Model

3. MQ빼고직접호출
View      ajax(http)      Engine+Model      DB

프레임워크라는 말이 어울리나.. 아키텍처라고 해야할까

장점 : 멀티플랫폼 개발시, 다양한 언어로 대규모서비스 개발시, 병렬확장구조 개발시

단점 : 성가실수있다

– 필요한것

1. 각 모듈간 호환되는 도메인 정의가 필요하다. 예를들자면… Avro? 그런데 Avro도 이종언어간 통신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avro생성기는 Python의 숫자형을 Java의 Int형으로 변환을 시키는데 이 경우 자릿수가 달라서 Python->Java 방향으로 전송시 오류가 발생한다.

2. Model부분 간소화. rails와 같은 getUserByUsername, getUserByAddress같은 명령이 자동으로 생성되야한다. 자동이 안되는 부분은 model에서 수동으로 처리해야하니까….
ORM의 경우 rails처럼 자동으로 메서드 생성이 안되기도 하고 명확한게 좋기도 하고 자바에 다들 익숙하기도 하니까…. selectQuery(table(by(columns…), joinColumns(…)) …)같은 형태면 어떨까 싶다. V-E-M 구조를 사용할 경우 View설계와 함께 도메인 설계 다음에 테이블 설계가 먼저 이뤄진 상태일테니….
QUERY의 경우 select * from Users u, Board b where u.id = b.user_id; 와 같은 쿼리를 넣고 이름을 정하면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은 자동생성….이 되야하는데 데이터 타입이 애매하니 avro나 각 언어 코드로 도메인을 같이 설정해줘야할것같다. 구현은 mybatis를 사용하면 간단. 다른 언어의 경우에는 비슷한 방법을 찾아보도록 해야겠다. 조인데이터의 경우에는 insert, update는 지원되지않고 각 테이블별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insert,update코드를 사용하도록 한다.

3. Engine은 MVC모델에서 Service단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 Model의 데이터를 Direct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처리를 위해서는 pass 자동화 필요. pass의 경우에는 Engine을 거치지 않고 Model로 요청. 각 테이블이 MQ의 채널이 된다면 Engine으로 매핑된 테이블과 엔진으로 매핑된 테이블을 분리시킬 수 있다.

4. Engine부분이 분리되어있기 때문에 View에서 Cross도메인 제약때문에 js만가지고 코딩을 하기는 힘들다. View와 함께 있는 php코드라면 요청 라이브러리를 지원해서 메서드를 호출하게 해서 직접 호출하고, java의 경우에는 controler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도록 한다. thrift에서 이 부분이 자동화되던데… 좀 고려해봐야겠다.

5. 각 모듈간의 보안..MQ를 쓰는 경우 여기 의존하도록 한다.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는 … 설정값 중앙화 라이브러리를 추가로 만들어야하지 않을까…?

6. 모듈분리로 인해 통신포인트가 많아져 속도상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있긴한데… 클까? WAS-DB(1개)에서 View-MQ-Engine-MQ-Model-DB(5개)로 늘어난다.
요즘 웹페이지가 예전처럼 단일호스트단일페이지가 아니라 로그인하고 화면을 보여주는데도 리소스서버WAS인증서버등등을 거치게 되는것을 고려한다면 뭐 별로 커지는건 아닐지도 모르겠다. 다중 ajax요청을 묶음배송기능을 추가한다면 이 부분을 커버가능하겠다. 그런데 ajax묶음배송기능을 그냥웹에서도 쓰게될텐데…..

 

만들것 :

ajax묶음배송기능.

ajax용 controller 자동생성기능. javascript에서 도메인 설정을 해놓으면 거기에 맞게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thrift 사용을 심각하게 고려.

Model자동화기능. 테이블을 스캔해서 domain파일을 자동생성해주는 기능은 필수. 만들어본적은 있는데… 디비마다 값이 다를 수 있어서 내가 쓰는 디비만 만들고 나머지는 설정파일을 추가해서 사용하도록 변경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