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if else
switch
int i=40; if(i>30) { i=10; } else { Console.WriteLine(i); }
i가 40일 때
i가 30보다 큰지 확인하고…
크면 i에 10을 대입한다
i가 30보다 크지 않다면..
콘솔창에 i값을 출력한다
if(i>30) {//1번째 분기 } else if( i > 50) {//2번째 분기 } else {//마지막 분기 }
if와 else를 이어붙이면… 무한히 이어붙일수도있다.
질문하나. i가 35일 경우 2번째 분기에 진입이 될까?
답: 안된다.
조건문은 순서대로 실행된다. i>30보다 큰거에 먼저 걸렸으니까 2번째는 실행이 안된다.
이런 조건을 쓸 때는 순서도 생각해야된다. 30<x<=50으로 정하던가..
정확히는… 30<i && i<=50
int int선택값; switch(int선택값) { case 0: break; //break;를 형식적으로 꼭 써 줘야된다 c++에서는 없어도 됐는데..c#에서는 필수 case 1: break; //default는 케이스에 걸리는게 없을 경우 사용되는 부분 default: break; }
int선택값을 0이나 1 또는 다른 숫자로 선택함에 따라 분기가 선택됨.
switch문은 항상 if else로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이걸로 하면 더 편한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