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cat의 경우
http와 ajp프로토콜 처리하는 부분에만 이걸 추가해준다.
이걸 해주면 URI가 인코딩된다. GET방식으로 보낼 때 주소줄이 깨지지 않는다는 소리…
프로그라마티컬리 해결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설정에서 해야만 하는 일이 있는건 별 수 없다.
톰캣 8 에서는 이런 문제가 해결되었으면한다.
#>mysql -u root -p
mysql>
show variables like ‘c%’;
+————————–+—————————-+
| Variable_name | Value |
+————————–+—————————-+
| character_set_client | utf8 |
| character_set_connection | utf8 |
| character_set_database | utf8 |
| character_set_filesystem | binary |
| character_set_results | utf8 |
| character_set_server | utf8 |
| character_set_system | utf8 |
| character_sets_dir | /usr/share/mysql/charsets/ |
|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
| collation_database | utf8_general_ci |
| collation_server | utf8_general_ci |
| completion_type | NO_CHAIN |
| concurrent_insert | AUTO |
| connect_timeout | 10 |
+————————–+—————————-+
set character_set_client utf8
set collation_server=latin1
뭐 이런식으로 필요한 부분만 바꿔서 입력해주면된다.
mysql> select charset(‘한글’);
+——————-+
| charset(‘한글’) |
+——————-+
| utf8 |
+——————-+
1 row in set (0.00 sec)
mysql> show global variables like ‘character_set_%’;
+————————–+—————————-+
| Variable_name | Value |
+————————–+—————————-+
| character_set_client | latin1 |
| character_set_connection | latin1 |
| character_set_database | latin1 |
| character_set_filesystem | binary |
| character_set_results | latin1 |
| character_set_server | latin1 |
| character_set_system | utf8 |
| character_sets_dir | /usr/share/mysql/charsets/ |
+————————–+—————————-+
이 방법은 데몬을 재시작하면 날라간다고 한다.
결국 my.cnf파일에 설정을 추가해야할 것 같다.
관련 내용은 검색하면 수백개씩 나온다.
————위으 설정은 실패————–
MySQL 한글 설정
mysql> status
(((((서버 정보 출력.. latin1이 보인다))))
mysql>use Database명;
mysql>set character_set_client=utf8;
mysql>set character_set_results=utf8;
mysql>set character_set_connection=utf8;
mysql>set character_set_server=utf8;
mysql>alter database DB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mysql>commit;
set names euckr 은
set character_set_client euckr
set character_set_connection euckr
set character_set_results euckr
이거세가지 따로따로 한 효과를 한꺼번에 추가
———–설정 파일은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게 좋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건드렸다.—
[client]
default_character_set=utf8
[mysqld]
#default_character_set=utf8
character_set_server=utf8
[mysqldump]
default_character_set=utf8
[mysql]
default_character_set=utf8
다른사이트에 나온거 아무거나 따라하면 에러가 날 것이니라
우분투는 – 대쉬가 아니라 _언더바를 써야하니까
주석을 쳐놓은 부분은…. 안먹혀서 주석을 쳐놨다.
버전이 달라져서 그런건지 윈도우와 리눅스버전의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안먹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