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라고?
모르겠다
충동구매로 지른 후 몇달인가 1년쯤 됐나?
지금 설정 해 놓은게…
- DNS
- VPN
- Cloud 백업
- 디스크
- 사진
- 동영상
- 다운로드
- Docker
- 블로그
- gitlab
- nexus
- 등등 개발용툴
기존에는 개인서버에서 docker-compose로 실행시키면 별로 손가는 일도 없었다
오히려 코드화가 힘든 synology nas가 설정에 더 손이 많이 가는 느낌?
장점은 저전력에 크기가 작고 raid 지원이 잘 된다는 점 정도일까
요즘 폐급 메인보드도 소프트웨어raid 정도는 지원되고 raid0(mirror)은 컨트롤러 없어도 잘 터지지는 않으니까 상관없지 않나. 앵간한 폐급 피씨 주서다 셋팅해도 synology nas보다 빠르고
718이랑 하드두개 해서 거의 100만원을 쓴 것 같은데 왜 샀나 모르겠다. 그냥 미쳤나보다
비교
클라우드, NAS, 개인서버
솔직히 NAS도 관리하는게 손이 꽤 많이 가고 쉽지가 않다.
어차피 공부해서 할 생각이라면 개인서버 쓰는게 낫고
편하게 쓰려면 클라우드 쓰는게 낫다.
iCloud 기준
5G 무료
50G 1100원/월
200Gb 3300/월 (가족)
2TB 11,100/월 (가족)
GoPro Plus
무한용량?? $ 4.99/월
Dropbox
2TB $9.99/월
SynologyNAS 718+ 기준
45만 + 30만(4TB*2) + 램추가(8G 5만)
전기요금 누진세포함 대강 5천추가
수명3년으로 잡고 2.7 만/월
너무 비싸서….다시
수명5년으로 잡고 1.3 만/월
용량차이 좀 감안해도 NAS보단 클라우드 쓰는게 나아보인다.
자주 안 쓰는 데이터만 BlueRay나 HDD에 담아두면 기본요금만 써 되독
클라우드 쓰다가 날라가면 어쩌냐고 하기도 하는데
집에쓰는 하드도 잘 날라간다
클라우드는 비싸다고 하는데
100만원+전기요금 5천원추가정도 생각하면 큰 차이없지 않나
가용성도
드랍박스 중단되는거 뉴스에 뜨기도 하고 하지만
집에 인터넷 끊기거나 기계 고장나거나 정전나는건 뉴스에안나오지만 훨씬 자주 발생한다
tvheaden인가 뭐 이런거 쓰려면…
어차피 Synology nas 스펙이 구려서 힘들다
동영상을 온라인으로 올려놓고 보고싶다면
Synology 스펙구려서 힘들다
개인서버 돌리고 오픈소스로 나온거 설치해서 쓰는게 낫지 않을까
Dropbox나 iCloud에서 지원도 될 것 같다
파일공유
Nextcloud로 해도 된다
단점나열
- 업데이트가 은근 느린 포인트가 많다
letsencrypt 적용해야되는데 *.주소 지원이 아직도 안된다. 작년부터 계획중
node4로 돌아가는 앱이 아직도 있네? package 업데이트가 안되서 생긴문제 - 중요 기능은 ssh접속해서 해야된다
개씨발포인트 – 디렉토리 구조나 권한설정도 지좆대로 되어 있는걸 건드리려니 더 힘들다 - 기존서버운영방식을 모르면 Synology도 못한다
쉽게따라하기 메뉴같은거 전혀 없다.. 어차피 이거나 저거나 공부하면서 해야됨 - 저가형제품에서 할수있는게 없음
- 전송속도 느림
- 비슷한 유틸 엄청많아서 헷갈림
- package를 직접 만들어 쓰려고 봐도 이거 손댈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정보제공도 안됨
결론은
Synology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려면 쓰는것도 괜찮았었었었다
Docker가 나오기 전까지는
요즘은 그냥 버리는 서버에 NAS용하드 두개 사다가 레이드걸고 쓰는게 낫다.
복잡한 설정 못할 것 같으면 그냥 cloud서비스 iCloud, GoogleCloud, Dropbox, naverCloud, 통신사클라우드 대강 골라서 쓰면된다. 하드한개 사서 백업을 하던가 안해도 되고
이거 고장나거나 느려지면 다시 사진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