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brew
[공식 사이트](https://brew.sh/index_ko.html)
예전에는 Mac에서 패키지관리를 할 때 MacPort를 많이 썼는데
요새는 Homebrew진영에 주도권을 넘겨준 모양새다.
Port는 소스코드를 받아서 컴파일 후 설치를 하는데 Brew는 미리 컴파일된 파일을 다운받아 바로 설치를 하니 속도가 빠르고 오류가 적다.
설치 방법
스크립트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사용법
# 패키지 설치 brew install wget brew install {packagename} # 패키지 검색 brew search mysql
Homebrew Cask
[공식 사이트](https://caskroom.github.io)
기존의 Homebrew가 라이브러리, 데몬 설치에 사용됐다면
Cask는 유틸리티 설치에도 사용된다
사용법
# 설치 $ brew cask install google-chrome $ brew cask install inkscape # 검색 $ brew cask search visual
검색은 공식사이트에서 해도 된다
https://caskroom.github.io/search
사용후기
cask 설치 실패가 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환경때문에 그런 것 같지는 않고 자주 안 쓰는 패키지는 관리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다.
공식앱스토어가 아닌 이런곳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게 보안상 안좋을 수도 있을 것 같다. 리포지터리나 dns가 해킹당하는 경우 아니면 패키지에 바이러스를 심어서 배포하는 경우에는 위험할 수도 있다.
괜찮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