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OS에서의 패키지 관리툴
(사실상 거의 비슷한건데 이름만 다른것포함해서)
Mac : port, brew
Ubuntu : apt, apt-get, aptitude
Centos : yum, dnf
필요성?
각 개발 환경에서 jdk, virtualbox를 깔고 개발을 하려고 한다면 보통은 이렇게 한다.
Mac
brew update
brew cask install java virtualbox vagrant
Ubuntu
sudo apt install openjdk-8-jdk virtualbox vagrant
Windows
….다운로드 설치
윈도우 패키지관리자
sdkman
안써봤다
Chocolaty
https://github.com/lukesampson/scoop/wiki/Chocolatey-Comparison
맥의 port에 가깝다. 설치파일 가져와서 설치하는 방식. 관리자 권한 필요
choco version all choco upgrade all --noop choco outdated cup all -y
Scoop
맥의 brew에 가깝다.
라이브러리, SDK, 개발툴 종류 설치에 특화되어 있고 프로그램의 설치는 안된다고 봐야…
사용자 디렉토리에 설치한다.
설치스크립트
http://scoop.sh/
iex (new-object net.webclient).downloadstring('https://get.scoop.sh')
ex)
r언어를 설치하고싶다면
검색
scoop search r
설치
scoop install r
scoop install 7zip 설치
jdk설치
scoop install openjdk
또는
scoop add bucket extras
scoop install oraclejdk oraclejre
같은방법으로
groovy, maven, gradle, scala … 등등설치
ruby는 불가. – 애초에 윈도우에서 ruby개발을 할 생각을 말자
virtualbox, hyperv, docker 등을 이용해서 공유디렉토리를 잡고 구동은 가상시스템에서 개발 및 파일관리는 윈도우에서 하는 방법이 그나마 제일 효율적이었다.